서울의 봄은 봉은사에서 시작된다. 사진가들의 앵글속에 담긴 선홍빛 매화가 봄소식을 전한다. 남쪽 통도사 홍매화 소식에 봄이 곧 서울로 진군 하겠구나 싶었는데 벌써 왔다고 한다. 이미 봉은사에 가 있는 마음 달래볼까하고 지난 사진을 만지작 거리며 보정해 본다. 봉은사 홍매화
원래부터 빈 배였을 수도 있다. 또는 누군가를 막 내려주고 잠시 비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비움은 곧 채의 준비이다. 비워진 현재의 상태를 보며 좌절하기보다는 앞으로의 채움을 준비하며 용기를 가져야 한다. 채움의 속도와 양은 담보할 수 없지만 그래도 언젠가는 채워질 것이다. 두물머리 빈배
창경궁 한편에는 260년이 넘게 뒤틀려서 자라는 나무가 있다. 회화나무(Pagoda tree)이다. 지금은 굽어진 몸통을 펼 힘조차 없이 쇠로 만든 지지대에 의지한 채 연명하고 있는 듯하다. 사도세자의 뒤주 긁는 소리를 들으며 상한 마음 큼이나 뒤틀려 있다. 창경궁 회화나무 Pagoda Tree
눈 내래는 산 풍경을 눈으로만 담아내기엔 아까운 마음이 든다. 카메라를 들고 나오지 않은 게 조금 후회스럽기는 하지만 스마트폰 카메라로 열심히 담았다.북한산 대성문 등반산을 오르는 만족감도 좋지만 사진을 찍으면 자연의 소리를 듣고, 들풀과 나무를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본다. 알지 못했던 것들에 대한 발견에 그 재미도 느낄 수 있다.
송악산은 산방산 남쪽에 위치한 오름이다. 제주의 오름중에 산방산, 영주산과 함께 산으로 불리는 곳이다. 송악산에 오르면 북쪽으로는 산방산과 한라산이 보인다. 남으로는 청보리로 유명한 차귀도가 손에 잡힐듯 가까이 보인다.제주 올레 10코스에 속해있다. 올레길 따라 오르다보면 방목해 놓은 말을 볼 수있다. 형제섬, 한라산, 산방산,마라도를 바라보며 걷는 올레길의 제주 최고의 절경중에 하나이다. 송악산 올레길 중간쯤에는 최근에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비밀의 수국정원이 있다. 6월 제주여행시 꼭 가봐야 할 곳중의 하나이다. 6월 제주여행 송악산 수국정원